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2월 4주 차(2월24일~2월28일)활동
본문
2025년 2월 4주 차에는 공연 팀명 정하기, 몸짓 활동(안무 창작 후 연습), 성폭력 및 성희롱예방교육, 사회참여공익활동 조 배정, 장애 이해 영상 시청, 인식개선캠페인 관련 회의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2월 24일(월) 4월 19일 공연을 위해 팀명을 정했습니다.
참여자들은 기발한 아이디어로 다양한 팀명을 제시했고, 많은 후보들 중에 비밀투표를 진행하여 팀명을 정하였습니다.
이어서 3주 차에 정했던 합동 안무가 음악과 맞지 않은 부분이 있어 전면 수정하여 재창작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재창작한 안무를 연습하고 15명의 참여자들이 다 같이 합을 맞춰보며 연습을 하였습니다.
2월 25일(화) 성폭력 및 성희롱예방교육을 들었습니다.
성희롱이란 무엇인지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도 교육받았습니다.
교육을 마치고 3월부터 진행할 장애인 픽토그램 바로 알리기 활동을 위해 조를 배정하고, 참여자들 서로서로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짝꿍도 정하였습니다.
조 배정을 마친 뒤에 창작했던 안무를 연습하고 근무를 마쳤습니다.
2월 26일(수)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의 이야기가 담긴 영상을 시청하며 안내견 식당 출입 거부에 대한 이야기,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을 마주쳤을 때 하면 안 되는 행동에 대해서도 나눴습니다.
이어서 4월 19일에 있는 인식개선캠페인 관련 회의와 몸짓 활동 안무 연습을 한 뒤에 근무를 마쳤습니다.
2월 27일(목) 지체장애인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참여자들은 영상을 시청한 뒤, 휠체어 사용 지체장애인에 대해 더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나눴습니다.
이어서 몸짓 활동을 하고 근무를 마쳤습니다.
2월 28일(금) 캠페인 현수막 문구 정하기 회의를 한 뒤에 참여자들이 서로의 장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 교육을 들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교육과 뇌전증으로 인한 발작 시에 대처하는 법도 교육하며 참여자들은 서로를 더욱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영상 교육 시청 후, 안무를 연습하고 근무를 마쳤습니다.
2월24일(월) - 공연 팀명 정하기, 몸짓 활동(안무 창작 후 안무 연습)
2월25일(화) - 성폭력 및 성희롱예방교육, 사회참여공익활동 조 배정, 몸짓 활동(안무 창작 후 안무 연습)
2월26일(수) - 장애 이해 영상 시청, 인식개선캠페인 관련 회의, 몸짓 활동(안무 연습)
2월27일(목) - 장애 이해 영상 시청, 몸짓 활동(안무 연습)
2월28일(금) - 인식개선캠페인 관련 회의, 장애 이해 영상 시청, 몸짓 활동(안무 연습)